본문 바로가기

연구간호사

(2)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하루 일과 1. 하루를 시작하는 첫 단계: 준비와 스케줄 확인임상시험 코디네이터(CRC)의 하루는 철저한 준비와 스케줄 점검으로 시작됩니다.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CRC는 동시에 여러 개의 임상시험을 관리하기 때문에, 매일 아침 연구 일정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정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출근 후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오늘 예정된 피험자 방문 일정과 검사 계획을 검토하는 것입니다.피험자마다 프로토콜에 따라 요구되는 검사 항목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작은 실수도 데이터 오류나 프로토콜 위반(Protocol Deviation)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 검사가 요구되는데 준비가 미흡하거나 검사 일정이 잘못 조율되면 연구 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팀의 요청 사항이나 전날 발생한 문제를 점..
임상시험 코디네이터(CRC,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란? 안녕하세요.저는 간호사로 현재는 임상시험 코디네이터(CRC,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로 일하고 있습니다.흔히 임상에서는 '연구간호사'로 불립니다. 업무 특성상 간호사가 CRC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아 그렇게 불리지만 연구간호사라고 해서 간호사만 CRC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현재 법적으로 임상시험 종사자 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모두 CRC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오늘은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에 대해 알아보는 첫 번째 시간으로 CRC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정의와 핵심 역할임상시험 코디네이터(CRC,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는 임상시험의 설계, 수행, 완료 단계 전반에서 연구팀과 피험자 사이를 조율하며..